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연수 들은 것) 다이얼로그플로우, 문해력, 인공지능 마인드맵 등


상봉초 박희정 선생님이 6학년 영재, 중학생과 한 dialogflow 챗봇수업 이야기

: 영재원 수업 하시는 분들은 다르구나 느껴졌고, 수업 중에 끊임없이 고민해서 커리큘럼을 수정해 나가는 모습도 인상적이시다. 3학년을 가르치면서도 AI를 계속 활용 중이시다.

Dialogflow 이야기

1. 검색으로 들어가지 말고 아래 주소로 들어가야 카드 결제 유도를 안한다고 한다.
dialogflow.cloud.google.com/#/login

2. 용어설명 해주신 것들

Entitiy : 정보를 가진 객체, 서로 다르게 표현된 것들을 이해시키기 위한 사전 같은 역할,

주제, 종류 묶음 예를 들어 가수라는 엔티티 안에 BTS, 블랙핑크

Fulfillment : 단어, 프롬프트를 외부에 전송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한다.

Agent : 하나의 인공지능 프로젝트의 개념, 어떤 챗봇!?

Intent : 대화 묶음, 전달받은 말을 중계하거나 가공하여 바꾸거나 전달받은 것을 서버에 보내기도 하고 서버에서 받은 것을 구글홈에 들려주는 등, 대화 묶음 쌍이다.

Training Phrases : 학생이 인공지능에게 하는 말, 특정 말을 하였을 때 Intent를 반응하게 하는 것 

중요 포인트!!>> Training Phrases 부터 어려움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AI도구는 익히면 되지만 여기서 어려운 것은 결국 문해력이었다고 한다!

문장 쌍, 프롬프트 개념 등 인공지능에 관심많지만 결국 이걸 만드는 과정에서 국어, 문해력이 쓰이게 되므로!, AI 리터러시 격차보다 문해력과 챗봇형대화라는 새로운 대화형식의 흐름을 익히는 것. 

그래서 AI 도구 학습 반복 보다 전략적 국어학습을 더 강조했다고 한다. (전략적 국어학습이란 누누무어, KWL, 의미자질분석:범주화, 챗봇 질문지제작, 함께 검토하기) 이것과 챗봇 특유의 대화 흐름 익히기 등이 중요했다고 한다.

그 외 팁

- 스트레드 시트의 확장으로 CHATGPT 쓰기 (API는 기본 5달러 제공) 아예 

- 인공지능 마인드맵 사이트 whimsical.com

직접 해보니 한국어도 된다.


내 생각>> 아이들 유인물 줄 때도 좋겠다.



댓글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