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AI윤리) 컴퓨터 교육과 안성진 교수님 AI 윤리첫수업

1. 대학원 들어올 때부터 AI윤리에 대한 수업과 토론을

너무너무너무 기대했다. 첫 시간이 기대 이상이었고 다른 쌤들도

자기들의 생각들을 마구 쏟아내시는 모습이 너무 대단했다.

코로나 땜에 교류가 적어서 아쉽지만 이 정도의 자극만으로도

사실 너무 흥미진진하다.

 교수업방식이 갑자기 뉴스기사를 보여주신다던가

채팅창을 적극활용하시거나 하는 점이 수강생들의 몰입도를 

높이는 것 같다. 즉석에서 생각을 정리해서 말하게 하니까

내공이 드러나기도 하고 정말 윤리는 답이 있다기 보다

이렇게 대화하면서 한 번 생각해보는 것만으로도 머리가

좀 크는 느낌이 든다. 말을 잘못한 것같아서 아쉽기도 하고 ㅎㅎ

 미리 공부해보겠다고 여름방학 때 빌려온 AI윤리책을 더 읽어봐야 겠다.

 그리고 첫 수업시간 전에 AI하면 떠오르는 것을 5가지 적어보라고

한 것을 첫 수업시간에 분류해보면서 이야기 해보는 것이 좋았다.

(1~2개보다 5개는 마인드맵처럼 마구 떠올려야 하는 요소도

있고 이유를 쓰라고 하다보니 생각을 정리하게 된다.)

 우리반 수업 때나 나중에 영재수업 때 해 봐야지.


2.

수업 메모 

부교재 지능정보사회와 AI윤리, 한국정보통신보안윤리학회

중간고사 / 기말오프고사 / 토론 / 9월20일 10월 4일 10월 11일 보강

11월 22일까지 중간고사 과제 미리 해야 할 듯

문자나 메일로 개인적으로 사유를 보내세요! 

PPT나 한글 워드

AI윤리 이슈정리와 초등(중등)교육에서의 정보윤리교육방안

1) AI윤리에 대한 현재까지의 다양한 이슈에 대해서 수집하고 시사점 등을

   분석하여 정리한다.

2) 현재의 정보윤리교육에서 AI윤리교육을 학교현장에서 실현하기 위한

   교육내용과 범위에 대해 제안한다. 

  (정보윤리 안에 들어갈 것이니까 / 나는 초등에서)

  이런 이슈가 발생하니까 이런 윤리교육을 하면 좋겠다. 제안)

  (거시적인 것에서 구체적으로 서술이 가야할듯)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한학기 전체적으로도 좋고 어떻게 짜면 좋을까)

  

이슈 ) XAI? 설명가능한 AI http://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4859


이슈 ) AI 오버피팅, 언더피팅




댓글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