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블로그는 너무 불편해.
배경은 또 뒤죽박죽.
글이 지저분해 보인다.
4주차인지 5주차인지 헷갈리네
1. 발표 아이디어
1) 우리가 이 논문을 선택한 이유는?
2) 그외 : 메모를 안하면 궁금했다는 사실도 잊는다. 참 중요
2.2021년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지원사업 공고문
사업공고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msit.go.kr)
3. AI 빅아이디어 그림을 다시 봐야 겠다.
4. 관련된 논문
1) 초등 교사들의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적 인식 (kisti.re.kr)
2) AI 교육인식에 관한 선행 연구나 인식에 대한 내용
[초등과학 교육에서의 인공지능교육 적용을 위한
초등교사들의 AI교육에 대한 인식]이라는 논문도 있었다.
2020년 초 127명의 초등교사 대상이다.
5. 설문내용과 구성방법이 인상적
해외 주요국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현황과 시사점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nbBoardSeq=&strCurMenuId=10091&nTbCategorySeq=&pageIndex=1&pageCondition=10&nTbBoardArticleSeq=830279&searchTopic=&searchObject=&searchCondition_D=36&searchKeyword_SD=&searchKeyword_ED=&searchCondition_W=6&searchKeyword_W=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List.do?strCurMenuId=10091
6. 김포제일고 김하은 선생님 수업 사례
- 인공지능 수업 전 학생들에게 설문을 미리 함. (어떤 수업을 원하는지)
: 좋은 생각이고 정석대로 하시는 것 같다.
----------------------------------
7. 논문에 나온 인식 조사 결과 이야기 이어서
1) AI 개념과 AI활용의 관계
2) SW교육과 AI교육의 관계
8. 빅아이디어
- 김한일 교수님
- 표현 / 추상화 / 자동화 / 네트워킹 / 디지털 감수성
문득 이런 빅아이디어들이 내가 성대 대학원 쓸 때 알고자 한 내용이란 것을
깨달았다. Sw교육에서 처럼 AI교육에서 핵심은 무엇인가 알아보려고
했었다.
이 논문은 초등교사 127명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들어있는데
이런 초기에는 좀 중요하게 여겨지는가 사실 나는 조금
새로운 것을 알기에는 갈증이 나는 논문처럼 느껴졌다.
새로운 시사점이 발견되지 않았던 것 같다.
9.
1)이은경 씨의 국내외 AI교육과정 분석 논문이 궁금하다.
미국 초등에서는 다양한 겸험, 넓은 범위가 인상적이다.
2)김수환씨의 해외 인공지능 교육 동향과 학습 도구 분석 부분에는
중국은 유치원도 있네.. 초등에서 스크래치, 파이썬, 아두이노, 주변환경센싱까지 넣어놨다.
9. 인공지능이란?
-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김현철 교수님
- 인공지능과 인공지능이 아닌 것을 구분 해보기로 접근해보자
10. SEF2020 초중등학교 AI교육 방향성 이라는 글도 읽어봐야겠네.
- 에이전트라고 부르는 뛰어난 인공지능 이야기
-----------
인공지능을 교육에 활용하는 관점과 윤리 파트
------[교육에의 활용]-----
11. 개인교수 보조 도구 관점 : 에듀테크 플랫폼 사이트 들
12. 활동 아이디어!!!!!!!!! : AutoDraw를 활용한 릴레이뮤직비디오
13. 구글 텐서플로우 플레이 그라운드 : 각종 신경망을 시각화 해준다.
14. 언어활용교육에 =쓰는 스피커들
15. 프로그래밍 교육에 쓰인다.
---[윤리]----
16. HAI 100년 프로젝트(스탠퍼드)의 AI지수 연간 보고서 (2018)
미국 유럽은 인본주의 쪽 중국은 기술쪽
17. 트롤리 /
18. 활동아이디어
설명가능한 AI - AI가 되어 어떤 판단을 내린 과정과 이유 근거를 말해보기활동
20. https://blog.hyundai-mnsoft.com/1596
컴퓨터교육과김미량 님이 모두에게: 오후 7:52
트롤리 딜레마 얘기를 많이 하기는 하지만... 어떤 식의 결론이나 판단이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매우 조심스럽죠...
컴퓨터교육과김미량 님이 모두에게: 오후 7:55
https://search.daum.net/search?w=bookpage&bookId=1488886&tab=introduction&DA=LB2&q=%EB%A1%9C%EB%B4%87%EC%8B%9C%EB%8C%80%20%EC%9D%B8%EA%B0%84%EC%9D%98%20%EC%9D%BC
21. 사람을 돕는 AI (PPT는 시간이 없어서 캡쳐했는데 나중에 옮기고 요약하고 지워야겠다.)
(내 생각 : 위의 자료로 올 해 할 수 있을 것 같다.)
- 생태전환교육일이 너무 많아서 이걸 섞어서 하는게 묘책일 것 같다.
- 쓰레기줄이기, 식물기르기, 환경과 사람을 위한 AI 를 주제로 교육력제고를
하면 내가 하고 싶은 AI교육도 하면서 생태전환교육 일도 할 수 있겠다.)
22.내 생각 활동아이디어 모으기
1) https://www.microsoft.com/ko-kr/ai/ai-for-good
유용한 AI를 보여주고 나서 장애가 있거나 어떤 상황에서 쓰일 수 있나
생각해보기
2) 역사 유물을 복원하는데 AI가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
기술 알아보기
올 해는 이거 한 번 엔트리도 한 번
4) 미술시간에 동그라미를 못그려요라는 아이들의 말에서 시작한 아이디어
사람의 동그라미는 조금 찌그러져야 멋지지. 완벽한 원은 기계가 그리는 거야.
화풍과 사진을 합성하여 화풍이 녹아든 그림 만드는 AI만으로 미술시간에
나의 개성이 얼마나 중요한가 이야기 해주기
가수의 목소리를 복원한 AI와 함께 덧붙이면 사람의 고유의 재능과 매력에 대해서도
이야기할 수 있겠다.
23. 발제
발제1.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인공지능 교육의 방향을 이야기해주세요"
1) 유재식 선생님
삼성과 안드로이드 이야기 처럼 혜안을 기르는 것이 더 중요
깊이들어가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는 생각 안그랬으면 좋겟다.
그래서 자신도 아두이노뿐만 아니라 목공 등도 활동에 도입 중.
2) 권순찬 선생님
하나의 도구 일뿐 꿈을 키우는 도구 할 수 잇는 일을 더 많도록
만들어주는 것이다.라는 메세지를 주면 더 좋지 않을까.
발제2. "초/중/고에서 AI 교육 내용 기준은 어떻게 세우는게 좋을까요?"
1) 오상희 선생님
기존의 내용기준은 좋은데 누가만들었고 과연 실행이 가능한가?
(약간 공감이 가는 내용이기도 하면서도 반석초 선생님께서
초등에서의 SW교육해보시면 내용기준 간단히 학년군별로 주실 수
없겠느냐고 이야기하신 적이 있다. 나도 이런 이정표가 초창기에
꽤 필요했던 기억이 난다.
난 오히려 이 내용 기준이 더 자세했으면 좋겠다.)
2) 주애리 선생님
2020 YEOmri SW-Maker 온라인 전시회 (google.com)
3) 유재식 선생님
인도, AI_Curriculum_Handbook.pdf (cbseacademic.nic.in)
인텔 수업을 계기로 외국자료를 굉장히 많이 섭렵하신 것같다.
code.org도 그렇고 외국 지도안이나 발문 자료가 되게 좋다.
4)컴퓨터교육과김미량 님이 모두에게: 오후 8:26
conceptual framework이 먼저 등장하는 것이 매우 중요...
The thrilling potential of SixthSense technology | Pranav Mistry - YouTube
[CES 2020] 삼성 ‘인공 인간’ 정체는… 잡스 룩 '디지털 아바타' 공개 - Chosunbiz > 테크 > ICT/미디어
발제3.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AI 윤리교육의 사례에는 또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권순찬 선생님
인공지능 윤리 교육 - 1. 인공지능 윤리의 필요성 (google.com)
AI Principles Korean - Future of Life Institute
MIT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Keris에서 번역 (이걸로 수업해봐야 겠네!)
https://keris.or.kr/main/ad/pblcte/selectPblcteETCInfo.do?mi=1142&pblcteSeq=13255
2) 조은미
지금 경험과 뛰어난 초등학교 아이들이 크면 지금의 고등교육 내용도 바뀌어야 할 것이다.
3) 최현수
로봇윤리 토론 대회
https://www.ai4teacher.com/2021-good-ai
신소영 님이 모두에게: 오후 8:41
이것도 인공지능 교육자료입니다.
https://cafe.naver.com/tjdjcjf
4) 이대희
제가 이야기 하고 싶었던건 윤리적인 인공지능 개발이 아직 어렵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어요
기사를 보니 역사적으로 만들어진 데이터 자체가 편향적이여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인사가 남자 편향이라던지
성별 인종 데이터 자체가 다르다던지
익명성에 의한 사이버 데이터가 나쁜AI를 만든다던지.
데이터 자체에 공정성이 없어 인공지능이 윤리적으로 학습이 어렵다는 이야기였습니다.
관련 URL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95315&kind=6&search=title&find=%C0%CE%B0%F8%C1%F6%B4%C9+%C0%B1%B8%AE
알고리즘 공정성과 윤리적 인공지능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bbsSeqNo=94&nttSeqNo=3179630
과기정통부, 사람이 중심이 되는 「국가 인공지능 윤리기준」(안) 공개
https://journal.kiso.or.kr/?p=1695
사이버따돌림: 우리가 단지 아이들만을 비난할 수 있는가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