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플러그드 활동이란!
1) 컴퓨터 없이 컴퓨터의 원리, 프로그래밍 언어 원리(절차적 사고)를 학습하는 활동
가) 컴퓨터 원리 중심 : 이진수를 알고 표현해보기, 이미지를 표현해보기,
텍스트 압축, 오류탐색
- 이 유형은 의미를 잘 설명하며 마무리해야지 그냥 표현해보기만 하고
끝나면 인간컴퓨터 체험활동 밖에 안되는 것 같다.
이진수를 십진수로 바꾸고, 로직같은 이미지 표현하기 활동을 하고
땡 끝나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그 앞뒤에 컴퓨터의 원리와 관련된 이야기를
최대한 흥미롭게 이야기 해줄 필요가 있다.
사실 언플러그드 활동 중에서 컴퓨터 원리 중심 언플러그드 활동은
초등에서는그렇게 많은 시간을 들이며 할 활동이 아닌 것같다는 생각도 든다.
나) 컴퓨팅 사고력 (프로그래밍 언어 원리) 중심
: 순차, 반복, 조건 등의 원리가 들어간 활동, 보드게임으로 많이 나와있다.
정렬, 탐색과 같은 응용된 알고리즘을 활용해보는 활동.
2) 컴퓨터 원리 중심 활동의 예
가) 이진수를 알고 표현해보기
1. 이진수를 알고 표현해보기 활동
영상에서 얻은 팁 :
1) 카드 뒷면을 블랙으로 해서 온오프를 표현한다.2) 2의 제곱을 설명할까 했는데 이 분은 그냥 규칙성 찾기처럼 스르륵 넘긴다.
우리가 세는 방식이라면 5지 근데 아니네!
256까지 생각해보고 난 뒤에 와 이걸로라면 큰 숫자도 금방 표현하네! 등등
3) bit 어원을 소개하는 부분은 수업에서 어떻게 해야하나?
4) bit 5개로 숫자 만들어보자 활동을 하고 맨 앞 비트 1의 의미를
묻는다!
5) 그다음에 문자는 어떻게 표현할까한다.
6) 생월을 선생님이 오프온온오프 이런식으로 표현한다. 맞추기.
7) 이렇듯 비트로는 레터 넘버 등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2. 내 생각
1) 맞추기 재밌게 바꿀 수 있을 것 같다.
2) 비트를 어디까지 가르쳐야 하나?
2. 이진수 GO FISH
(가) 준비물 : 4비트 이진수가 쓰여진 카드 16장 (1111, 1011, 0000 등)
0 ~ 15까지 쓰여진 카드 16장
(나) 게임 방법
① 4~5명이 게임에 참여합니다.
② 카드를 섞어 각자 4장씩 가져가서 자신만 보고 남은 것은 가운데 쌓아둡니다.
③ 자기 차례가 되면 한 사람을 지목해 특정 숫자가 있는지 물어봅니다.
(물어보는 사람은 자신의 손에 있는 카드와 같은 값을 가진 짝을 찾아
물어봐야 하고 이때 4비트를 그대로 읽는 게 아니고 십진수만 말할 수
있습니다. 4비트를 십진수로 바꾸는 연습을 하는 놀이이기 때문입니다.)
④ 물어본 카드가 있으면 그 카드를 물어본 사람에게 주어야 하고
물어본 사람은 그 카드와 자신의 손에 있는 카드를 짝지어 자기 앞에
내려놓습니다.
물어본 카드가 없으면 물어본 사람은 카드 더미에서 카드를 하나
가져와야 합니다.
⑤ 가운데 쌓여있는 카드가 모두 없어지면 게임이 끝나고 짝지어 내려놓은
카드가 많은 사람이 승리합니다.
⑥ 가운데 쌓여있는 카드가 모두 없어지기 전에 손에 있는 카드를 모두
내려놓은 사람은 가운데서 카드를 5장 더 가지고 와서 계속 참여합니다. 3. 활동 뒤 해줄 이야기 (이런 이야기를 안해주면 너무 의미 없을 것 같다.)
컴퓨터를 비롯한 디지털 기기들은 정보를 이진법으로
1과 0으로 저장하고 표현합니다. 사람은 10진법을 쓰지만 컴퓨터는
2개의 숫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현합니다. 1과 0은 비트라고 불리는데
기계의 두 가지 상태 전원의 온, 오프를나타냅니다.
우리가 내린 명령어는 이렇게 두 가지 상태로 표현되는데 우리가 10010으로
명령을 내리지 않는 이유는 프로그래머들이 우리가 익숙한 말로 명령어를 내리면
알아서 101000으로 바뀌도록 프로그래밍하여 컴퓨터와 사람이 쉽게 대화할 수
있는 언어를 개발해놓았기 때문입니다.
엔트리나 스크래치 같은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 Java, Phython 같은 텍스트 언어
가 그러한 언어들입니다.
사실 하나의 비트만으로는 많은 것을 표현할 수 없겠지요. 그래서 비트를 여러 개
묶어서 100100 이런 식으로 정보를 표현하게 됩니다. 11110000, 10011000 등의
8개의 비트를 이용하기만 해도 숫자를 0부터 255까지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8개의 비트 묶음을 바이트라고 부르는데 우리가 사용하는 디지털 기기의
용량을 표현할 때 1GB(1기가바이트), 1KB(1키로바이트)등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지요.
컴퓨터의 속도는 비트 묶음 몇 개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습니다.
64bit 컴퓨터는 64개의 비트를 한 번에 처리하는 반면에 32bit 컴퓨터는 조금
느리겠지요.
댓글
댓글 쓰기